킥보드 없는 거리 서울시에 있다고?
전동킥보드가 사라진 거리? 서울에 정말 그런 곳이 생겼다.
지나가던 사람들이 되묻는다. “킥보드가 왜 없어졌지?” “이제 타면 안 되는 건가?”
서울시가 전격 시행에 들어간 ‘킥보드 없는 거리’가 바로 그 이유다.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그것도 유동인구가 많은 핵심 거리 두 곳에서 전동킥보드가 전면 통제되기 시작했다.
어디에서 시행됐나?
서울시가 지정한 두 곳은 다음과 같다.
- 마포구 홍대 걷고싶은 거리
- 서초구 반포 학원가 일대
이 두 지역은 서울에서 보행자가 가장 많이 몰리는 곳이자, 동시에 전동킥보드 불법 주차와 사고가 빈번했던 ‘문제 지역’으로 꼽혔다.
이제 이곳에서는 전동킥보드, 전동휠, 전동스쿠터 등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진입이 제한된다.
단순한 권고가 아니다. 운영 초반부터 현장 인력과 안내 시설이 배치돼 물리적 통제가 시작됐다.
왜 이런 정책이 나왔을까?
보행자들의 불만이 점점 커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홍대 거리에서 킥보드를 걷어차거나, 밤길을 걷다 놀라는 시민들.
좁은 골목길에 아무렇게나 세워진 킥보드는 시야를 가리고, 어린이·노약자에겐 위험 그 자체였다.
서울시에 접수된 민원 중 상당수가 “킥보드로 인해 걷기 힘들다”는 내용이었다.
이동의 자유보다 보행권을 지켜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해지자, 서울시는 선제적으로 거리 제한을 선택한 것이다.
어떻게 운영되나?
‘킥보드 없는 거리’는 단순한 캠페인이 아니다. 실제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운영된다.
- 진입로 곳곳에 표지판과 바리케이드 설치
- 현장에 안내 인력 배치
- 공유 킥보드 업체들과 협업해 지정 거리 내 자동 회수 및 사용 금지 설정
- 향후 위반 시에는 과태료 부과도 검토 중
이 정책은 5월 16일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했으며, 시민 반응에 따라 다른 거리로의 확대도 고려 중이다.
시민들의 반응은?
보행자들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너무 시원해요. 킥보드 피하면서 걷는 스트레스가 없어졌어요.”
“아이와 함께 걸을 수 있어 좋아요.”
하지만 반대 의견도 있다.
“차는 막히고 대중교통은 붐비는데, 킥보드마저 없애면 어떡하라는 건가요?”
“불법 이용자만 문제지, 무조건 규제하는 건 지나친 처사예요.”
보행권과 이동권 사이의 균형이 정책의 향방을 결정지을 가장 중요한 키워드다.
킥보드 이후, 도시가 바뀐다
서울시는 단순히 ‘없애는’ 정책이 아니라, 더 안전한 거리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정책은 향후 인사동, 신촌, 대학가 거리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킥보드 없는 거리는 단지 통제가 아니라, 사람 중심 도시로 가는 시작점이다.
지금 이 순간, 서울의 한복판에서 실험이 시작됐다.
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안전한 보행 환경을 위해 킥보드를 줄이는 데 찬성할 것인가, 아니면 자유로운 이동권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서울의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엔 ‘킥보드 없는 거리’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