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유튜버 소득신고 상위1%는 6억7천 벌어

by 토끼의시계 2021. 2. 14.
반응형

유튜브 소득신고 2776명이 했다.

유튜버 등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업종코드 신설 후 첫 종합 소득을 신고한 인원이다.

이들이 신고한 수입금액은 총 875억으로 1인당 3152만원이다.

수입금액은 경비를 차감하기 이전 단계로

자영업자의 매출액과 같다고 보시면 된다.

 

 

업종코드가 생기기 전 유튜버는 '기타 자영업' 등의 코드로 소득을 신고했기 때문에

유튜버 소득을 따로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국세청은 유튜버와 BJ 등 인터넷·모바일 기반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수익을 올리는 신종사업자의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2019년 9월에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과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업종코드를 신설했다.

 

업종코드 신설 후 첫 종합소득 신고(작년 5월)에서 유튜버를 포함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자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27명의 수입금액은 181억2500만원,

1인당 평균 6억7100만원이었다.

상위 10%에 속하는 277명의 1인당 평균 수입금액은 2억1600만원

하위 50%의 수입금액은 총 15억원으로 1인당 평균 108만원 정도였다.

하위 33%에 속하는 917명의 평균 수입 금액은 연간 100만원에도 못 미쳤다.

 

작년 1월 기준 구독자 10만명 이상 한국 채널의 수는 약 3천400개

한 유튜브 통계 분석업체의 집계를 고려하면

유튜버의 2019 귀속 종합소득 신고가 부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구독자가 10만명이 넘으면 연간 수입이 수천만원가량으로 알려졌다.

 

국세청 관계자는 별도 업종코드 신설 이후에도 과거대로

기타 자영업으로 신고하는 유튜버도 있기 때문에

소득 신고를 하는 유튜버의 규모는 2776명보다는 더 많다고 설명했다.

 

양경숙 의원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더라도

과세당국이 신종 사업자 소득 파악에 한계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양 의원은 "과세코드가 신설됐지만, 여전히 유튜버 개인이 자진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세 당국이 수익을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인 만큼

자진신고를 철저하게 유도하고 소득세 탈세가 이뤄지지 않도록

국세청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유튜브가 일상이 되버린 요즘

구독자를 유심히 보지 않아도

우리가 보는 유튜브 중 10만이 넘는 유튜버는

정말 많아진 편이다.

연예인들도 유튜브에 동참했으며

기존 유튜버들의 입지 역시 올라갔다.

그에 따라 늘어난 수입을 세금으로 환수하는 것은

국외 수출과 맞먹는 효과라고 본다.

3천 명이 조금 안되는 사람들의 소득이 평균 3천이라고 하니

유튜브를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은

그 노력의 대가로 얼마를 벌고 있는지 몰라도 그저 부러울 따름이다.

반응형

댓글